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수익형모기지 VS 손익형모기지 VS 전세(8.28 전월세 대책)

수익형모기지 VS 손익형모기지 VS 전세(8.28 전월세 대책)

살펴볼 내용

(1) 8.28 전월세 대책

(2) 신혼부부를 위한 초저금리 수익형 모기지

(3) 전세값으로 집을 장만할 수 있는 손익형 모기지

(4) 주거비용 분석을 통한 자산운용






8.28 전월세 대책

8 28일 모두의 기대 속에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었습니다.

그 중심은 새로운 모기지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제도는 수익 공유형과, 손익 공유형 모기지입니다.

이 제도의 취지는 전세금이 많이 올라서 전세 구하기가 어려운데 그 전세자금으로 집을 살 수 있도록 초저금리의 대출을 말하며 더블어 집값이 떨어져도 그 지분의 일부를 정부가 부담하는 제도로 어찌보면 파격적인 제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신혼부부를 위한 초저금리 수익형 모기지

그럼 먼저 수익형 모기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익형 모기지는 주택기금에서 집값의 최대 70%까지 빌려주며 한도는 2억입니다. 따라서 아직 목돈이 부족한 신혼부부 등에게 유용한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대출 금리는 1.5%로 생애최조 구입자금 기본금리(2.6~3.2)의 절반수준입니다.

다만 주택 매각때, 또는 20년 만기때, 그리고 조기상환때 매각 차익의 일부를 주택기금이 가져가게 됩니다. 또한 손실은 100% 구매자의 몫입니다.

다만 집값 상승시 기금이익은 5%를 넘을수 없습니다.

 

전세값으로 집을 장만할 수 있는손익형 모기지

이번엔 손익형 모기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손익형 모기지는 집값의 40%, 2억의 한도로 대출되는 제도로 전세금등 목돈이 있는 무주택자용 제도입니다.

이자는 초기 5년은 1%, 6년 이후론 2%입니다.

특징중 하나는 집주인과 기금이 이익도 공유하지만 손실도 공유한다는 사실입니다.

손실이 나면 기금과 집주인의 지분 비율에 따라 손실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지분율이 60%일 경우 손실액의 60%만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주거비용 분석을 통한 자산운용

목돈 8000만원을 보유한 씨의 주거비용을 따져보겠습니다.

주거 요건은 시세 25000만원짜리 집, 전세 17000만원,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70만원으로 가정하겠습니다.

일반 모기지는 17000만원을 4.3% 이자로 대출을 받습니다.

수익공유형은 1.5%의 저글미로 대출 17500만원을 받고 자기돈중 500만원은 예금합니다.

손인공유형은 1억원을 1.5%의 금리리 빌리고 다른 금융회사에 7000만원을 추가 대출해야합니다.

전세의 경우 9000만우너의 전세자금을 대출받아야 합니다.

   ================== 위 조건으로 연주거비를 산출한 결과입니다.================

일반구입: 942만원

수익고유형: 447만원

손익공유형: 662만원

전세: 616만원(2년단위 이사비용 미포함)

월세: 787만원

 

 

나는 어떻게 해야하나…..

 하지만 위 결과만을 가지고 결단을 하기엔 변수가 너무 많습니다.

돈이 있다면야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없는 돈가운데 가장 저렴하면서 필요시 수익을 낼수 있는 즉 자산을 불릴수 있는 방법은 개인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너무나도 다릅니다.

 

따라서 위 제도에 관심이 있다면 전문적인 재무설계사를 통해서 자신의 재무상태 분석을 통하여

미래의 수입과 지출을 철저히 분석하여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제도를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재무설계에 대해서 부담스러워 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미 선진국에선 보편화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도 많은 은행 또는 증권회사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 재무설계를 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 회사의 상품을 위주로 설계를 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요즘 무료 재무설계를 받을수 있는곳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돈드는 것이 아니니 밑져야 본전이다라는 생각으로 꼭 한번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절대 후회 안하실 겁니다.

 

참고로 제가 모아온 재무설계 사이트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서민들을 위한 무료 재무설계 센터 [리더스 리치]

    2) 종자돈 1 만들기 [재무설계연구소]

    3) 맞춤형 무료재무설계 [한국재무설계센터]

    4) 5만명 종자돈 1 만들기 프로젝트 [제테크 스쿨]

[출처] 20~30 실전 재무설계 전략 포트폴리오|작성자 bestpgm

꼭 방문해 보셔서 유익한 재무설계를 통해 자신의 자산을 잘 운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저는 이만 줄이겠습니다.